청와대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고 밝힐 때마다 확진자가 늘어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코로나19 국면에서 국민 불안을 줄이고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발언이라도 정부 차원에서 입장 표명에 신중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경제계와 간담회에서 “코로나19는 머지않아 종식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대통령 발언 5일 후인 18일 ‘31번 확진자’가 출연하면서 코로나 사태는 순식간에 악화됐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9일 대구시청에서 “가파르게 치솟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의료계와 국민 모두가 함께 힘을 내 조만간 변곡점을 만들 수 있으리란 희망이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후 11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는 7755명으로, 전날에 비해 242명 늘었다. 하루 신규 확진자 증가 폭이 전날 131명까지 줄었다가 다시 늘어난 셈이다.
문 대통령과 정 총리의 발언 이후 각각 신천지와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 콜센터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등장하면서 코로나 확산이 가속화됐다. 일각에선 “정부가 돌발변수까지 어떻게 예상하겠느냐”는 의견도 있지만 청와대와 정부가 코로나 관련 발언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크다.
여권 관계자는 “코로나 가짜뉴스가 횡행하고 있고 근거없는 비관론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확한 사실에 근거한 입장 표명이 중요하다”면서도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라도 무조건적인 낙관론은 경계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정부가 방역과 경제활성화라는 투트랙을 유지하되 예상치 못한 변수가 나오고 있는 만큼 방역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정책을 운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