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업은행, 신한은행과 '기술혁신 전문펀드 조성 및 운용 협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R&D) 활동에 투자하는 '기술혁신 전문펀드'(TIF)가 5천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기업은행과 신한은행이 각 각1800억원과 1000억원을 출자해 모(母)펀드를 조성한다. 산업부의 R&D 자금을 예치·관리하기 위해 산업기술자금 전담은행으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한국성장금융이 모펀드를 운영하면서 민간 투자자의 투자를 더한 5000억원 규모의 자(子)펀드를 결성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투자하게 된다.
올해부터 3년간 매년 기업은행과 신한은행이 900억∼1000억원 규모의 모펀드 자금을 낸다. 이를 토대로 자펀드 운용사는 민간 자금을 매칭해 매년 약 1600억∼1800억원 규모의 기술혁신펀드를 결성한다. 각 펀드는 8년간 운용한 후 청산한다.
한국성장금융은 10월까지 올해 결성할 3개의 자펀드(각 500억∼600억원) 운용사를 모집하고 투자액 1600억원은 올해 말부터 중소·중견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중점 투자 분야는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이차전지 등 제조업이다.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5G), 빅데이터처럼 제조업과 연관된 미래 산업 분야에도 투자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등으로 기술혁신이 급속도로 빨라지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직접적인 R&D 지원 외에도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기업의 다양한 기술혁신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