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등 외교부 간부들, ‘코로나19 채팅방’ 열었다

입력 2020-03-10 12:36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비롯한 외교부 간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모바일 메신저를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공무원들은 통상적으로 보안을 위해 민간 모바일 메신저 사용이 엄격히 금지된다. 다만 코로나19 방역은 높은 수준의 보안은 필요치 않으면서도 신속한 대응이 핵심인 업무여서 편의성을 고려해 사용하게 됐다는 것이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코로나19 관련 소통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며 “(외교 업무는) 보안 비밀 때문에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지 못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업무는 보안과 관련이 없어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는데 효과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외교부 간부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민간용 모바일 메신저에 채팅방을 개설했다. 채팅방에는 외교부 수장인 강 장관부터 실무급에 해당하는 심의관까지 총 49명이 등록돼 있다. 이들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24시간 소통하며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고 한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메신저가) 너무 빠르고 편하고 좋다. 이걸 경험했으니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뒤에는 업무를 어떻게 할까 생각이 들 정도”고 말했다. 그는 기자의 질문을 받자 곧바로 스마트폰을 주머니에서 꺼내 소통을 한 뒤 즉답을 내놓기도 했다. 이 당국자는 “(언론 배포용) 보도자료도 종이로 출력하지 말고 메신저 단체창에 띄워서 처리토록 했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공무원이 업무 용도로 민간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일부 직원이 민간 메신저를 이용해 보안을 요하는 자료를 공유하다가 외부로 유출하는 사고가 발생해 곤욕을 치르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2018년 1월에는 정부가 작성한 가상통화 대책 보도자료 초안이 공식 발표 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개되기도 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응은 업무량이 매우 많고 신속한 결정을 필요로 하는 대신, 높은 보안 수준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편의상 민간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게 됐다는 게 외교부 고위 당국자의 설명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