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코로나 대출’의 자금 공급속도를 높이기 위해 은행 위탁 대출 업무 범위를 넓힌다.
금융위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금융정책국 현안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발표했다. 이달 3∼6일 금융기관 지점 26곳을 점검한 결과 코로나19 피해 기업의 자금 신청 중 70~90%가 지역신용보증재단(지신보) 등의 보증부 대출에만 쏠리면서 자금 공급이 늦어짐을 확인했다.
금융위는 서류 접수와 현장 실사 등 지신보 업무 일부를 은행이 맡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업무 위탁 범위를 늘리고 정책금융기관의 퇴직 인력을 투입해 자금 지원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또 대출 서류상 기본사항을 전산화해 은행-지신보 간 시스템 연계도 추진키로 했다.
이세훈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현재 제한된 범위에서만 일부 재단이 은행에 업무를 위탁하고 있다”며 “업무 범위를 심사 과정까지 넓히는 방안을 중소벤처기업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소상공인에 비해 중소기업 지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에 따라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새 지원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특례보증(7천억원)과 회사채 신규 발행 지원(1조7천억원→2조2천억원) 등이 거론된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