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에 속도를 낸다. 매출 감소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와 기업들의 지원 신청이 쇄도하면서 심사·자금 공급이 지연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금융부문 대응 관련 현안 브리핑을 열고 “신용등급 미달로 지역 신용보증재단의 보증서 발급이 어려운 소상공인에 대해 대출을 거절하지 않고 담보 등을 보강해 심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은행의 여신심사 기준을 완화해 소상공인이 보증부 대출 외에도 은행 자체 특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길을 더 넓힌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신용등급을 기존보다 ‘3단계’ 상향 조정해 금리·한도 등 결정하고 있고, 오는 4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에 대해선 심사 없이 일괄적으로 6개월 만기를 연장하고 있다. 심사 기간을 줄이기 위해 지점장 전결로 지원하는 사례도 늘린다는 방침이다.
또 소상공인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프로그램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에 따라 기존 7조5000억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과 더불어 추경을 통해 특례보증(7000억원) 등 신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관련 보이스피싱 감독도 강화한다. 최근 은행 이름을 딴 ‘코로나 관련 금융지원 사기’ 문자 메시지가 급증하면서 고객 문의가 늘어나는 현상에 따른 조치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업무량이 급증하는 등 금융 현장의 애로사항도 존재한다”면서도 “금융 지원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