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부족 차별없는 지원 필요

입력 2020-03-10 10:36
인천연구원(원장 이용식)은 2019년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를 10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 인천시 장애인 인구는 14만4031명으로 인천시 총인구의 4.9%를 차지한다.

인천시는 2017년 ‘인천광역시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2018년부터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을 시행해오고 있으나, 인천시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장애예술인의 활동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따라 이 연구는 인천시의 장애인과 장애예술인이 생활 속에서 차별 없이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전국적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장애인 6549명을 대상으로 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의 97.5% 이상이 1년간 영화를 제외한 문화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예술인 416명과 장애인예술 활동가 584명을 대상으로 한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결과 장애예술인을 위한 활동지원과 발표기회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시에서 활동하는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관계자와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정책 수요조사 결과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보조)인력 지원, 장애인 문화(창작·교육·발표)시설 확충, 장애예술인 지원사업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장애예술인 레지던시인 잠실창작스튜디오를 운영하며 장애예술인 창작활동과 장애인 문화향유 프로그램을 지원해오고 있다. 수원시에는 (사)에이블아트가 장애인 문화예술공간인 에이블아트센터를 운영하며 장애예술교육 및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실태조사와 사례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이 연구는 “누구나 누리는 문화예술, 더불어 행복한 인천”이라는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①장애인 문화예술 참여 및 향유 증진, ②장애예술인 창작 활성화 및 활동 지원, ③장애인과 비장애인 문화예술 교류·협력 활성화라는 3대 목표와 4대 추진전략, 16개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인천연구원 최영화 연구위원은 “조례가 제정된 지 만 3년이 됐으나 아직까지 인천시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은 미비하다”며 “인천시 장애인과 장애예술인의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지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