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9일 공적 마스크 납품업체인 ‘지오영’의 조선혜 대표와 김정숙 여사가 인연이 있다는 온라인상 논란에 대해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끊임없이 불안과 공포를 조장하고 증폭시키는 행동들이 일각에서 있었다”며 가짜뉴스를 겨냥한 경고를 내놓았다. 청와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우후죽순 쏟아지는 가짜뉴스에 대해 법적 대응을 포함한 원칙적 대응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윤재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정숙 여사는 숙명여고를 나왔고, 지오영 (조) 대표는 숙명여대를 나왔다. 같은 숙명을 연결시켜서 동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지오영 대표와 김정숙 여사는 일면식도 없다”고 했다. 조 대표는 인천 인일여고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부대변인은 “모 홈쇼핑의 대표이사가 (대선) 캠프 출신이고, 그 홈쇼핑의 대표와 지오영 대표가 부부 사이라고 알려졌는데 그것도 역시 사실이 아니다”며 “모두 다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했다.
앞서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공적 마스크의 유통을 맡은 지오영과 백제약품이 특혜를 받고 있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특히 지오영의 조 대표가 김 여사와 인연이 깊고, 조 대표의 남편은 공영홈쇼핑의 대표이자 문 대통령 대선 캠프 출신이라는 주장이 퍼져나갔다.
기획재정부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이날 지오영·백제약품을 유통채널로 선정해 특혜를 줬다는 논란에 대해 “전국적 약국 유통망과 전문성을 보유한 지오영·백제약품을 유통채널로 선정하는 것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적극 해명했다. “공적 마스크 판매처 선정 시 공공성과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는 게 이들 부처의 설명이다.
청와대가 지적한 가짜뉴스는 이뿐만이 아니다. 청와대는 이날 김 여사가 지난달 18일 서울 중랑구의 동원전통종합시장을 찾았을 당시 썼던 마스크가 일본산이라는 온라인 루머에 대해서도 “역시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청와대는 이런 가짜뉴스들이 언론사 로고까지 달아서 유포되고 있는 점은 심각하다고 보고 있다.
윤 부대변인은 “특히 현장의 의료인, 공무원, 나아가 국민이 코로나19 극복에 최선을 다하는 상황에서 허탈감을 주는 행위”라며 “정부로서는 법적 대응을 비롯한 원칙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앞서 지난 5일에도 문 대통령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왼손으로 하는 것처럼 조작한 사진, 중국인 유학생들에게 대통령이 도시락을 제공했다는 루머 등에 대해서도 ‘가짜뉴스’라고 반박한 바 있다.
임성수 기자, 세종=전슬기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