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청각장애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등 8개 단체는 9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각장애 학생들이 소외당하지 않는 정책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했다.
2일 교육부는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을 연기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활용을 권고했다. 대학들 역시 개강을 미루고 재택 수업을 위한 온라인 강의를 활용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장애인 단체들은 온라인 콘텐츠에 수화통역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거나 수어로 만들어진 학습자료가 없는 등 청각장애인들의 학습권이 침해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장애 대학생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듣는 경우 원활하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속기와 수어 통역을 제공하겠다”고 했지만 장애 단체는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많다는 입장이다.
호예원 한국농교육연대 학생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각 대학 사이버캠퍼스 강의에 대부분 자막과 수어 통역이 없다”며 “구체적 운영 지침이 없어 청각장애 학생들이 대학 측에 요구하고 부탁하러 다녀야 한다”고 호소했다.
청각장애 학생들이 요청할 경우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 수어 통역을 지원해주고 강화하겠다고 말했지만 현장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학생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단체는 EBS 동영상 같은 초중고 공개강의에도 수어 통역이 제공되도록 예산 마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서지원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