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9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촉발한 ‘마스크 대란’과 관련해 “청와대를 비롯한 공직사회부터 보건용 마스크가 권장되는 경우 외에는 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등 솔선수범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문 대통령과 참석자 전원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 마스크 공급량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라는 게 청와대 설명이지만, 마스크 관련 메시지가 오락가락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회의에서 “마스크 5부제는 여러모로 불편하실 것이다. 1인당 1주 2매의 분량이 부족한 분도 많으실 것”이라며 “감염병의 빠른 확산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취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모두에게 공평하게 구입할 기회를 드리는 것이지만 아직 공급량이 부족한 데다 방역 현장과 의료진, 취약계층, 대구․경북 지역 등에 우선적으로 공급해가면서 5부제를 운영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마스크 공급량을 신속히 늘리겠다며 “국민들께서도 마스크 공급에 여유가 생길 때까지 방역 당국이 권장하는 마스크 사용 지침을 많이 참고하시고 따라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청와대는 이날부터 마스크 사용을 최소화하는 지침을 내렸다. 청와대 주요 회의의 발언자나 출·퇴근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기존대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나머지 경우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도록 했다. 또 보건용 마스크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면 마스크 사용을 권장하기로 했다.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를 비롯한 장관들도 일제히 일회용 마스크를 벗고 면 마스크를 착용했다.
지난 3일 국무회의 당시만 해도 문 대통령 등 참석자 전원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었다. 불과 5일 만에 마스크 착용에 관한 지침이 급선회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추세가 줄고 있다며 “지금 세계적으로는 여러 나라에서 신규 확진자 수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가 현재의 추세를 계속 이어나가 신규 확진자 수를 더 줄이고 안정 단계에 들어간다면 한국은 그야말로 코로나19 방역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도 “아직 낙관은 금물”이라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경제보좌관에 박복영 경희대 교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에 김사열 경북대 교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에 정은숙 법무법인 수륜아시아 변호사를 임명·위촉할 예정이라고 이날 청와대가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