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벼랑 끝에 놓여 있는 민생경제를 위해 부산시가 경제 살리기에 나선다.
부산시는 9일 코로나19 여파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임대료’ ‘자금’ ‘수입감소’ 등 3대 부담을 줄이는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이날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소상공인 3대 부담 경감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소상공인의 실질적인 부담을 덜기 위해 임대료 감면을 추진한다. 지하도상가 등 공유재산과 공공기관 시설은 3개월간 매월 50%씩 임대료를 감면한다. 이 대책 시행으로 상가 3800여 곳이 73여억원의 혜택을 받는다.
민간이 추진하던 ‘착한 임대인’ 운동도 적극 지원한다. 임차인과 임대료 인하 상생 협약을 체결한 임대인에게 최대 200만원 한도에서 재산세 50%를 지원한다. 임대료를 인하한 전통시장에는 환경개선 사업비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자금 부족으로 인한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특별자금 지원도 신설·확대한다. 기존 4000억원의 ‘소상공인 특별자금’과 2월 신설된 1000억원의 ‘부산은행 연계 특별자금’, 금융 사각지대를 위한 1000억원의 ‘부산모두론’을 투입한다. 또 ‘소상공인 임대료 특별자금(500억원)’, ‘소기업 경영안정자금(500억원)’을 신설한다. 이렇게 되면 총 7000억원 특별자금이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긴급 투입된다.
경제활동 위축에 따른 수입감소 부담을 덜기 위한 정책도 강화된다. 지역 화폐 동백전을 기존 3000억원 규모에서 1조원 내외로 늘리고, 이달 말까지 진행하려던 10% 캐시백도 7월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또 확진자가 방문한 업체에는 철저한 방역을 지원한다. 이용 기피 현상을 막기 위해 희망하는 업체에 ‘클린존’ 인증마크 등을 부착할 방침이다. 현재 모금하고 있는 기부금의 일부를 이들 업체 지원을 위해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무엇보다 부산시는 시의회와의 긴밀한 협조하에 현재 수립된 2020년 예산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세수 등 상황변화를 반영해 더욱 효율적이고 시민 지향적인 예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올해 예산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겠다”면서 “급하지 않은 부분을 조정하고 코로나19사태로 인해 취소, 연기한 사업도 전면 재검토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