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약국 공적마스크 유통채널로 선정된 ‘지오영’ 대표와 김정숙 여사가 유착 관계에 있다는 의혹에 대해 “명백한 가짜뉴스”라고 9일 밝혔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하고 “지오영 대표와 김정숙 여사가 동문이라고 하는 명백한 가짜뉴스가 SNS 중심으로 해서 유포되고 있다”며 “두 분은 서로 일면식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여사는 숙명여고를 나왔고, 조선혜 지오영 대표는 숙명여대를 나왔다. ‘숙명’이라는 말을 연결시켜서 동문이라고 하고 있다”며 “명백한 가짜뉴스다. 가짜뉴스가 도를 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 회원들과 보수성향 유튜버들은 국가 공급 공적 마스크의 유통을 맡고 있는 지오영과 백제약품이 특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 회사는 전국 2만3000여개 약국에 공적 마스크를 공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오영은 전국 1만4000여개 약국에 공급망을 갖고 있다. 전체 약국의 60% 수준이다. 조달청이 마스크 제조업체와 계약한 공적 마스크 단가는 900~1000원 수준이다. 두 업체의 약국 공급가는 1100원이다. 지오영과 백제약품은 공적마스크 1장당 100∼200원의 마진을 남기는 셈이다.
일부 네티즌들은 그 특혜의 배경으로 지오영 조선혜 대표와 김정숙 여사의 ‘특수관계’를 주장했다. 김 여사와 조 대표가 숙명여고 동창이라는 주장이 나왔지만 청와대의 해명처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조 대표는 인천 인일여고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부대변인은 지난달 18일 김 여사가 서울 중랑구 동원전통종합시장을 방문할 당시 썼던 마스크가 일본산이라는 의혹에 대해서도 가짜뉴스라고 설명했다.
윤 부대변인은 “이런 가짜뉴스들이 연합뉴스가 보도한 것처럼 해서 퍼지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며 “문 대통령이 긴급행정명령을 내려서 조선족 관련 조치를 한다는 게 돌았는데 연합뉴스가 보도한 것 처럼 유포가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언론의 신뢰를 이용한 아주 악질적인 가짜뉴스다. 심각한 범죄다”라며 “코로나 사태 극복에 최선을 다하는 국민들에게 허탈감을 주는 행위다. 정부로서는 원칙적으로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법적 대응 여부가 결정되면 즉시 밝힐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청와대는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를 ‘중대한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총력 대응하고 있다. 코로나 국면에서 가짜뉴스가 국민 불안 심리를 더 키울 수 있다고 보고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가 코로나 가짜뉴스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은 ‘국민에게 명확한 사실을 알려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당부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