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도시 경관과 건축물들이 이어져 있는 경남 통영 구시가지 일대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9일 경남도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통영시 중앙동과 항남동 일대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을 국가등록문화재(제777호)로 고시했다.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은 조선 시대 성 밖 거리 흔적들이 남아 있을 뿐 아니라 대한제국 시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번화했던 구시가지의 근대 도시 경관, 건축 유산이 집중적으로 보존되고 있어 가치가 높다고 문화재청은 평가했다. 또 해당 공간 내 ‘통영 중앙동 근대주택’ ‘통영 김상옥 생가’ ‘옛 통영목재’등 9곳은 개별문화재로 등록됐다.
이번 문화재 등록에 따라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문화재청 공모사업인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확산사업’ 대상지로 선정, 앞으로 5년간 국비 250억원 등 총 500억 원을 투입해 문화재와 지역이 상생하는 특화 공간으로 조성한다. 이에 경남도와 통영시는 올해 보존과 활용을 위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 추진한다.
근대역사문화공간 사업은 대상지를 근대역사문화예술촌(통영문화광장), 근대역사문화거리(1919거리), 대문화예술거리(강구안 프리마켓거리)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차별화된 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개별문화재로 등록된 근대건축물 9곳의 외부는 원형을 보존하고 내부만 새로 단장할 계획이다. 이곳은 근현대 책공방, 북아트센터, 근대역사문화체험관, 예술가 하우스, 통영독립운동역사관, 디자인 소극장 등으로 활용하고 청년 문화예술인 창업지원, 근대역사문화거리 디지털 복원 사업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통영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새로운 도시브랜드의 창출은 물론이고 청년 문화예술인의 협업 공간 마련 등으로 300여 명의 청년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지고 탐방객 증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등으로 쇠퇴한 구도심이 새로운 활력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관계자는 “통영 근대역사문화거리가 생명력을 갖고 지속해서 운영되기 위해서는 공간을 지키고 이끌어나갈 지역주민의 공감과 참여가 필요하므로 지역민이 사업 주체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