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를 계기로 올해 착공하는 산재전문 공공병원 규모를 지금보다 크게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9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주군 굴화리 공공주택지구에 건립되는 산재공공병원은 울산시와 울주군이 공동으로 2059억원을 투입, 올해 착공해 2024년 연말이나 2025년 상반기 개원할 예정이다.
이 공공병원에는 303병상, 16개 진료과목, 직업병연구소와 재활보조기 연구소 등 2개 연구소가 들어선다.
울산시의 공공병원 건립 사업은 2003년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가 산재병원을 건립하자는 건의에서 시작됐다.
울산시는 500병상을 추진했지만 경제성과 부지 적정성 등의 문제로 정부 예타 조사 과정에서 3차례 사업이 변경되는 등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규모가 쪼그라들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규모를 지금보다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역사회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울산은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공공병원이 없는 만큼 산재전문 공공병원은 산재노동자들의 치료 문제뿐만 아니라 울산시민의 공공의료 지원시스템의 미비를 보완할 수 있야 된다는 것이다.
송청호 울산시장은 이날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이를 신속하게 건립하고 규모도 늘려야 한다는 것을 알려줬다”며 “정부에도 이를 강력하게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재전문 공공병원에 들어서는 지자체인 이선호 울주 군수도 최근 기자회견을 자청해 “울산보다 사정이 훨씬 나은 대구시도 병상 부족 등 의료시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을 비교해 볼 때 울산의 의료현실은 그야말로 참담한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 군수는 “울산시민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폐암 등과 코로나19, 사스(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같은 전염 질환도 관리할 수 있는 공공병원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군수는 “이것이 바로 산재전문 공공병원이 500병상 이상으로 건립돼야 하는 절실한 이유”라며“리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고, 울산에 생기는 첫 공공병원이 울산시민의 의료공백을 줄일 수 있는 제대로 된 공공의료기관으로 조성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코로나 19 사태로 울산 산재전문 공공병원 규모 확대 여론 높아
입력 2020-03-09 14:04 수정 2020-03-09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