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초 원리를 가르치는 고등학교 34곳이 지정됐다. 이들 학교는 교육부로부터 예산 지원을 받아 인공지능 관련 수업을 개설하고 주변 학교 학생들에게 개방하는 거점 학교 역할을 맡게 된다.
교육부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고교 34곳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서울·경기 5곳, 충남·전남·경북 3곳, 부산·대구·인천·대전·경남 2곳, 광주·울산·강원·충북·제주 1곳이다(표 참조).
인공지능 거점 학교는 올해 1억원, 내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5000만원을 지원 받는다. 2021학년도 신입생(현 중3)부터 전체 수업의 15% 내외를 정보·정보과학·인공지능 등을 편성 운영한다. 또한 공동 교육과정으로 연간 4단위(1개 과목을 1년 동안 주당 2시간 운영하는 분량) 이상을 인근 학교 학생들에게 개방하게 된다.
거점 학교들은 올해까지 교사 연수·선발, 교재 개발 등 수업 기반을 구축한다. 수업 개설은 내년부터 이뤄진다. 다만 현재 고교에 적용 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이 1학년 때 문·이과 공통 수업을 이수하고 2학년부터 진로·적성에 따른 선택 수업을 하도록 설계돼 있다. 인공지능 관련 수업은 선택 수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인공지능 수업은 현재 중3이 고2가 되는 2022년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인공지능 시범학교를 올해 246곳 운영하기로 했다. 소프트웨어 선도학교 2011곳 가운데 시범 학교를 지정한다. 또한 올해 안으로 인공지능 융합 교육 전문인력 1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상수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해 학생들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아 인공지능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다양한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