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가 이전 기업 근로자들에게 지급하는 이주정착금이 꾸준히 늘고 있다.
9일 충주시에 따르면 근로자 조기 정착 유도를 위해 2014년 신설한 이주정착금은 2014~2016년 3년 동안 1000만원 이하의 이주정착금이 나갔으나 2017년 3200만원으로 크게 상승했다. 2018년 4500만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는 117명에게 5900만원의 이주정착금을 지급했다.
이주정착금은 충주로 주민등록을 옮긴 근로자의 가족 1명당 50만원을 지원한다. 셋째 자녀부터는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전 기업 공장 등록 후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1회에 한 해 지급한다.
시는 우량기업 유치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부내륙권 신산업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기업체 고용지원금, 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중부내륙선철도와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조기 건설 등 다양한 SOC 건설사업의 추진, 편리한 지리적 접근성, 저렴한 용지와 풍부한 용수 등은 충주가 가진 장점으로 꼽힌다. 시는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규제 정비와 애로사항 처리를 위한 현장지원반과 우량기업 유치를 위한 투자유치지원단 운영, 인·허가 등 행정서비스 지원도 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세우는 등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개별입지 공장에도 투자촉진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보조금은 공장 설비 투자금의 5% 이내에서 50억원까지 지원된다. 시는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그동안 산업단지 입주기업에만 적용했던 보조금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그 결과 지난해 57개 기업이 신규 투자나 기존 공장 증설을 통해 충주에 1조7895억원을 투자했다. 대규모 투자 유치로 3271개의 새로운 일자리도 생겼다.
현대모비스가 연간 3000대 규모의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모듈을 공급하는 충주 친환경 전용공장의 생산 능력을 올해 연말까지 2배로 늘리는 증설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대엘리베이터도 2028년까지 경기 이천 본사를 충주로 이전하고 스마트 공장 신설, 물류센터 조성에 나선다.
시 관계자는 “근로자 이주정착금 외에도 뛰어난 정주여건을 조성해 이전기업의 근로자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우량 기업을 계속 유치해 명실상부한 중부내륙권 신산업 도시로 발돋움하겠다”고 말했다.
충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