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영국 정부가 비상조치를 검토 중이다. 영국 가디언은 8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확산에 영국 정부가 비상조치를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주 내용은 직장인이 기존 직장에 출근하는 대신 국민보건서비스(NHS)에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최대 4주간 보장해주는 것이다. 이는 지난 7일 영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며 확진자 수가 200명을 넘어선 것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매트 핸콕 보건부 장관은 “NHS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이들은 기존 직장에서의 고용보장이 가장 시급하다”며 “이 조치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영국 전역에서는 300만명의 자원봉사자가 보건·복지기관에서 자발적으로 일하고 있다. 비상조치가 시행되면 NHS의 자원봉사자들은 기존 직장에서의 고용이 법적으로 보장된다.
영국은 또 전화통화와 화상통화를 활용해 재판을 진행할 예정이다. 70세 이상의 노년층은 각종 대형 행사의 참석이 금지되며 주요 스포츠 경기는 무관중으로 진행된다.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정책도 시행된다. 영국 재무부는 수십억 파운드 규모의 재원으로 펀드를 조성해 코로나19로 휘청이는 기업에 투입할 방침이다.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식별해 돕기 위한 ‘핀셋 지원’도 시행된다. 주 지원 대상은 1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다. 직원이 격리되거나 매출이 급격히 감소한 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세금 납부를 유예해주는 제도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재무부의 이런 조치는 사태가 악화되어 다수의 직원들이 자가격리되면 중소기업들이 버틸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당국은 인력난에 시달린 중소기업들이 문을 닫거나 심지어 ‘줄도산’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리시 수낙 재무부 장관은 “우리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대비하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기업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비상조치 법안은 이르면 이달 안에 통과될 전망이다.
김지훈 수습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