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50일’ 기업들의 비명…“매출 38% 급감”

입력 2020-03-08 11:10 수정 2020-03-08 11:45
경북 구미 국가산업5단지 모습. 뉴시스

대구 지역에서 중국과 거래하는 기업 중 47%가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대구는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이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처음 감염자가 확인됐다. 이에 따라 대구에서 중국과 거래하는 기업은 내수와 수출·입의 이중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월부터 ‘코로나19 대책반’에 접수된 기업애로 357건 접수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홈페이지와 전국 73개 지역상의, 서울의 25개 구별 상공회, 업종별 협회를 중심으로 기업현장의 피해와 애로사항을 접수받아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에 1일 단위로 전달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대책반으로 애로와 지원을 호소하는 기업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애로유형도 수출차질, 원자재부족, 자금경색, 마스크부족 등 다양하게 발생하는 중”이라며 “방역활동과 병행해 경제적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업애로 해소도 정부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상의 대책반이 지금까지 접수된 애로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업들이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은 ‘매출감소’(38.1%)로 파악됐다. 이어 ‘부품원자재 수급’(29.7%), ‘수출애로’(14.6%), ‘방역용품 부족’(5.3%), ‘노무인력관리’(4.8%) 등이었다. 제조업은 중국과 거래관계가 많고 공단·제조업 밀집지역인 경기·경남·경북 등을 중심으로 매출감소, 원자재 조달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들이 많았다.

서비스업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생존까지 위협받는 상황으로 조사됐다. 외부활동을 꺼리고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내수·관광업종을 중심으로 매출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종인 전시산업과 항공운수업은 전시회 개최와 항공이용객이 90% 가까이 줄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활동 자제와 계속된 개학연기에 따라 소매유통업, 학원 등 업종의 타격도 컸다. 대책반에 접수된 정부에 대한 건의사항으로는 ‘자금지원’(35.1%)을 요청한 기업이 전체의 세곳 중 한곳이었다. 이어서 ‘마스크·세정제 등 방역용품 지원’(18.8%), ‘세금감면·세무조사 연기 등 세제·세정지원’(13.4%), ‘고용유지지원’(10.9%), ‘노동·환경 등 규제완화’(6.4%) 등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발생이 집중된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생존을 위한 긴급자금 지원과 방역활동에 필요한 마스크공급, 관련비용 제공을 요청했다. 대구상의는 “대구지역의 중국거래 기업 중 47%가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며 “정부지원이 늘었다고 하지만 대출한도 초과, 대상업종 제한, 기업신용도 문제 등으로 신규대출이나 만기연장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대구에서는 산업계 몫의 마스크를 배정받아 공급해 달라는 업계 요청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비스업종이 몰려 있는 서울지역은 항공, 여행, 교육 등 업계에서 큰 폭의 매출 감소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부산·울산·경남지역은 원자재 수급지연과 가동인력 감소 등에 따른 생산차질을 빚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건건이 인가해 주는 방식이 아닌 선제적인 특별연장근로 인가를 요청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초중고교 개학이 3주간 늦춰지면서 학습교구 납품이 지연되고, 방문교육에 대한 불안도 급증하면서 교육업종의 피해도 가중되고 있다. 신관호 고려대 교수는 “지역·업종별 대책 외 자금지원, 세제감면, 각종 조사·부담금 납부 이연 등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부담경감조치는 한 번에 묶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