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감소세에 “고무적인 조짐을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사진) WHO 사무총장은 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의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에서 새로 보고된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고, 그 보고된 사례는 이미 알려진 집단에서 주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몇몇 국가가 많은 수의 코로나19 확진 사례를 보고하고 있지만, 115개 국가는 아직 어떠한 사례도 보고하지 않았다”면서 “21개국은 단 1건을 보고했고 5개국은 지난 14일 동안 신규 환자를 보고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들 국가와 중국의 (코로나19에 대한) 경험은 이것이 일방통행 도로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며 “코로나19는 억제(push back)될 수 있지만, 그것은 정부의 모든 기구가 참여하는 협력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사무총장은 세계 각국이 코로나19에 대한 교육, 진단 능력 증대, 병원의 대비, 필수 공급품의 준비 같은 비상 계획을 가동해야 한다며 “이런 계획들은 (각국) 정상들이 리더십을 발휘해 복지부뿐 아니라 안보와 외교, 금융, 통상, 교통, 무역, 정보 등 정부의 모든 부문을 조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주장에는 “아직”이라며 선을 그었다. 코로나19 발병 억제 전략이 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억제책이 코로나19 대응의 주요 초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이 바이러스가 얼마나 치명적인가는 바이러스 자체 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사무총장은 코로나19와 관련해 북한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하면서 이와 관련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최근 만난 일이 있다고 언급했다. WHO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아직 확진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WHO는 이날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는 9만5265명, 사망자는 328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