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5일 포항시에 따르면 음식물류 폐기물 수집·운반 처리업체인 영산만산업(주)와 맺은 음식물 자원화시설 대행기간이 오는 6월 30일 만료돼 시설이 폐쇄된다.
포항시는 2023년까지 신규시설을 설치·운영한다는 계획이지만, 당장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공백이 생기게 됐다.
시는 영산만산업과 계약을 연기하거나 타 지역 업체에 위탁 처리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영산만산업과 계약 연장이 현재로서는 가장 유리하지만, 음식물류 쓰레기 처리장 인근 오천읍과 제철동 주민들의 반대가 걸림돌이다.
이 지역 주민들은 수십년간 악취로 고생해 왔는데 더 이상 존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타 지역 업체 위탁 처리는 추가로 발생하는 막대한 예산이 문제다. 시는 이에 대비해 올해 추경에서 27억원을 확보해 처리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포항에서 하루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167t 정도로 시는 지난해 영산만산업에 62억원 정도를 지원했다.
그러나 외부에 위탁할 경우 처리비용이 연간 120억원 정도로 두 배 가까이 상승하게 된다.
또 음식물류 폐기물을 보관할 집하장 설치에 따른 입지 선정과 비용도 걱정거리다.
뿐만 아니라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단가 상승과 직원고용 문제도 숙제다. 시는 영산만산업과 60여명에 이르는 직원들의 고용 승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타결점은 찾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영산만산업의 시설 폐쇄까지 3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아 앞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최선의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포항시가 지난해 공모한 신규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입지선정에는 흥해읍 3곳, 청하면 2곳과 장흥동, 오천읍, 구룡포읍 각각 1곳 등 8곳이 신청했다.
시는 입지선정위원회를 열고 타당성 조사, 주민공청회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 6, 7월쯤 최종 입지를 선정하고 2023년까지 496억원 정도 들여 신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을 설치·가동한다는 목표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