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급한 대로 마스크 구매가 가능하니 어려움을 겪는 대구 시민분들을 위해 양보하겠습니다.”
홍콩에 거주 중인 한국 교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대구 시민들을 위해 정부에서 배포하는 마스크를 양보했다.
주홍콩 총영사관과 홍콩 한인회, 한인상공회는 지난 3일부터 사흘간 정부에서 보내 준 마스크와 자체적으로 마련한 마스크 2만여개를 홍콩 교민에게 무료로 나눠 주기로 했다.
총영사관과 각 기관은 사전 신청을 받아 번호표를 배포해 3일부터 준비한 마스크를 배부했다. 또 미처 신청하지 못한 교민을 위해 4일부터 이틀간 미신청자에게도 신분 확인 절차를 거쳐 추가 배포를 하기로 했다.
준비된 마스크는 KF94, KF80, N95 등 성인용 1만5000개와 아동용 5000개였다.
총영사관은 공지 말미에 나누어 주고 남은 마스크는 홍콩한인회를 통해 전량 대구 지역에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홍콩 교민들은 자진해 마스크 수령을 사양하기 시작했다.
김원진 홍콩 총영사는 5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이미 한 차례 배포했는데 아동용 마스크 등이 조금 남았고, 이후에 한인회와 한국상회를 통해 마스크가 또 모이게 돼 다시 배포 계획을 세웠다”면서 “혹시 남는 마스크가 있다면 홍콩보다 더 어려운 국내 상황을 고려해 기부하는 것이 좋겠다는 방향으로 뜻이 모였다”고 말했다.
홍콩도 마스크를 구하기가 어렵고 비싸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급증하는 한국에 비해서는 구매가 수월할 것이라는 게 이유였다.
한 홍콩 교인은 “식구가 6명인데 마스크 없어도 남는 수량 대구지역으로 기부된다고 해서 신청하지 않았다”며 “급한 대로 홍콩은 구매 가능하니 많이 남아서 한국으로 보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홍콩 교민도 “대구 시민들을 위해 받아가지 않으려 한다”며 “정말 꼭 필요하신 분들만 받아가 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실제 이날 오전 11시 배포가 마감된 뒤에 총영사관에는 5000여장의 마스크가 남았다.
이학균 재외국민보호 담당 영사는 “처음 공지를 할 때 혹시 마스크가 남게 되면 대구에 보내도록 하자는 의견을 교민분들께 전달했다”면서 “일부 교민은 사전 신청을 하고도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영사는 “이미 배포는 마감이 됐기 때문에 홍콩한인회를 통해서 나머지 수량 5000여개를 대구에 보낼 계획”이라며 “어려운 시기에 해외에서도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어 다행”이라고 전했다.
송혜수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