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가 개강을 앞두고 대구·경북에서 돌아오는 학생을 조기에 불러 모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한 뒤 3일간 격리하는 방안을 내놨다. 대구·경북 학생 보호 방안은 전국의 대학들이 고민하던 사안이다.
교육부는 여당 수석대변인의 ‘대구 봉쇄’ 발언 후 몸을 사리느라 함구하고 있고, 대학들도 차별 논란이 불거질까봐 눈치만 살피고 있었다. 대학들이 각자도생해야 하는 분위기에서 거점 국립대의 선제 조치가 나와 대학가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5일 전북대에 따르면 전날 김동원 총장이 학생들에게 코로나19 사태 관련 편지를 발송했다. 김 총장은 편지를 통해 대구·경북 학생에 대한 조치 내용을 설명했다. 먼저 대구·경북 학생 전원을 오는 21일과 22일 기숙사로 모이도록 했다. 대학이 제공하는 버스를 이용하거나 자가용을 활용하도록 했다. 대학 부담으로 전원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기숙사에서 3일 동안 격리하겠다고 했다.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은 학생만 등교를 허용할 방침이라고 했다.
일부 학생은 “거주지가 대구·경북이란 이유로 학생을 보균자 취급한다”며 반발했다. 학생들은 학내 커뮤니티 등에도 비판을 이어갔다.
그러자 대학 측이 당초 ‘의무 조치’에서 ‘자율 참여’로 방침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유희철 전북대 학생처장은 “대구·경북 학생을 보호하고 다른 학생들도 보호하는 조치”라면서도 “총장 서한의 행간을 읽다보면 마치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해다. 강제적 조치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전북대에 다니는 대구·경북 지역 학생은 270여명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257명과는 대학과 연락이 닿았고 나머지 학생의 소재도 파악하고 있다.
다른 대학들은 전북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구·경북 출신 학생 보호 대책과 관련해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한 서울 사립대 관계자는 “정부가 일괄적으로 지침을 내려주면 좋겠지만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우리도 어떻게 할지 고민하고 있는데 전북대가 어떻게 조치하는지 등을 참고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