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한국 등에 체류한 이력이 있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 규제 강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산케이 신문은 5일 일본 정부가 입국 거부 대상을 한국과 이란 전역에 체류한 이력이 있는 외국인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이날 한국발 입국자를 2주간 정부 시설에 격리한 뒤 입국 허가를 내주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2주간 격리 뒤 입국’ 방안도 장기간 격리를 각오하고 일본을 찾는 이들이 극히 소수일 것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일본 방문을 막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일본 정부가 ‘입국 금지’라는 초강수를 두지는 않으리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중국과 한국인에 대해 이미 발행한 비자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한국 관광객이 일본에 오는 것도 자제해달라고 요청할 방침이라고 교도는 전했다.
어느 정도 수위일지 불투명하지만, 일본은 지난달 27일부터 14일 이내에 대구와 청도를 방문한 뒤 입국한 외국인에 대해 입국금지 조처를 해왔는데 관련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이날 저녁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에서 어떤 조처를 할지 결정해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언론의 보도를 접한 뒤 “일본 정부로부터 이와 관련해 공식 통보를 받은 사항은 없다”면서 “사실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후쿠시마 원전 주변(철수권고)을 제외하곤 현재로선 한국인의 일본 여행에 대해 사실상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고 있다. 지난달 29일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일본 전역에 ‘1단계(여행유의)’ 여행경보를 발령했을 뿐이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