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고양 창릉·고양 탄현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국토교통부 업무보고에 대해 “주택공급 계획을 서두르라”고 주문한 데 따라 주민 공청회 등의 절차를 최대한 앞당겨 마무리했다. 국토부는 올해 상반기 내로 나머지 지구지정을 완료해 3기 신도시 조성에 속도를 붙인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4일 수도권 30만호 공급 계획 중 고양 창릉 및 고양 탄현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해 오는 6일 고시한다고 밝혔다. 기존 절차대로라면 오는 5~6월쯤에야 지구 지정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주택공급을 최대한 빨리 해야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국토부는 주민 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최대한 앞당겨 지난달 마무리했다.
고양 창릉 지구는 약 130만㎡ 크기에 3만8000채가 들어서는 신도시다. 국토부는 30사단 이전 예정지와 훼손돼 보전 가치가 낮은 그린벨트 등을 활용해 교통이 편리한 자족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고양선 전철 개통 등 전체 사업비의 20%(2조원 이상)를 교통망을 구축하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경기도와 LH, 고양도시관리공사가 사업시행자로 참여한다.
정부는 고양 창릉 지구 개발 과정에서 세계문화유산인 서오릉 주변 경관을 정비하는 사업도 함께 진행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오릉 남측의 경우 비닐하우스가 들어서있는 등 경관이 훼손됐다. 저층의 역사문화거리로 새로 조성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살리겠다. 서오릉 중심에서 1㎞ 떨어진 곳에 아파트를 지어 기존 경관도 최대한 보존하겠다”고 설명했다.
고양 탄현 지구는 3300채 규모다. 20년 이상 방치된 장기미집행공원부지를 활용한다. 신혼희망타운, 민간분양 등을 통해 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지구 지정으로 수도권 30만채 공급 계획 중 총 19만6000채(18곳·총 면적 3497만㎡)의 지구 지정이 완료됐다. 신도시급은 5곳 중 4곳이 지구 지정이 마무리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부천 대장 등 나머지 지구는 대부분 올해 상반기 중 지구지정을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남양주 왕숙·하남 교산·과천 등 지난해 10월 지구지정이 완료된 곳은 연내 지구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주민들과 보상협의체가 구성된 곳을 중심으로 토지보상에도 들어간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