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있는 21개 물류창고에 마스크 367만개를 보관하던 46개 업체 등 폭리를 취하고자 마스크를 대량 보관하던 업체들이 무더기로 경찰에 적발됐다.
이들 업체들이 창고에 쌓아둔 마스크는 국내 하루 생산량인 약 1000만개의 거의 절반에 달하는 약 450만개나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 대란’이라 칭할 정도로 국민들이 고통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사리사욕에만 여념이 없던 이들의 ‘악마적인 상술’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합동으로 지난달 중순부터 마스크와 손소독제 매점매석 단속에 나서 마스크 449만개와 손소독제 10만여개를 창고에 보관하고 있던 경기·인천 유통업체 59개를 적발했다고 4일 밝혔다.
적발된 업체들 가운데 46개 업체는 인천에 있는 21개 물류창고에 마스크 367만개를 5일 이상 보관하다가 적발됐다.
한 업체는 인천의 다른 물류창고에 마스크 28만5000개를 장기간 보관하다 적발됐고 또 다른 업체는 성남의 창고에서 13만개를 열흘 이상 보관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의 이번 단속은 정부의 마스크 긴급수급조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마스크의 제조·유통 과정에서 벌어지는 매점매석 행위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보건용 마스크 및 손소독제 매점매석 행위 금지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와 손소독제는 지난해 월평균 판매량의 150%를 초과해 5일 이상 보관할 수 없다.
이번에 적발된 업체들은 대부분 열흘 이상 마스크 등을 보관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단속을 통해 확보한 마스크와 손소독제는 식약처에 넘겨 시중에 신속히 유통되도록 했다”며 “식약처에서 매점매석 행위를 의심해 고발한 또 다른 5개 업체에 대해서도 현재 수사 중"이라고 했다.
정부는 최근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마스크 가격과 공급 안정을 위해 우체국을 비롯한 공적 판매처를 지정하는 등 긴급수급조정 조치를 내놓았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