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코로나 대응 잘해” 긍정 57% vs 부정 43%

입력 2020-03-04 09:37 수정 2020-03-04 09:44
문재인 대통령이 3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문재인 정부의 대응수준에 대해 국민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유명순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 학회장(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은 4일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코로나19 위험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9일 발표한 1차 조사에 이은 2차 조사다.

조사 결과 정부의 위기대응 평가를 긍정한 비율은 57.0%였다. 반면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을 부정 평가한 비율은 43.0%였다.

긍정평가 비율을 영역별로 보면 방역 부문 긍정 평가 비율이 57.9%로 가장 높았다. 검역 부문도 49.2%를 기록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업무 조정은 39.8%, 정부 부처 간 업무 조정은 39.4%, 대국민 위기소통 긍정평가는 37.4%, 언론대응은 31.4%를 기록했다. 국제외교 조정은 25.5%로 7개 영역 중 긍정평가율이 가장 낮았다.

중국 후베이성에 적용돼있는 입국 제한조치를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에 “편익이 더 크다”고 답한 비율은 44.2%였다. 반면 “손실이 더 크다”는 응답은 24.4%였다.

국내 중국 유학생 입국 일괄 금지에는 57.6%, 국내 중국 유학생 강제 자율격리는 58.9%가 “편익이 크다”고 답했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공적 판매처에서 마스크 물량을 공급하기 시작한 2일 오전 강원 강릉시 주문진우체국 앞에서 시민들이 마스크가 5분만에 완판되자 "왜 마스크가 부족하냐"며 관계자에게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는 대체로 일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상이 정지한 정도를 0~100으로 설정해 “절반 이상 일상이 멈춘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은 59.8%였다. 1차 조사 때 48.0%보다 11.8%포인트 올랐다.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접할 때 떠오르는 감정으로는 불안 48.8%, 분노 21.6%, 충격 12.6%, 공포 11.6%, 슬픔 3.7%, 혐오 1.7% 순이었다. 특히 분노는 1차 조사 때 6.8%에서 이번 조사 때 21.6%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첫 확진자 발생 이후 불안이 증가했는지 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85.1%가 “더 커졌다”고 생각했다.

코로나19 확진세가 가라앉지 않으면서 국민이 느끼는 위험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9.8%였다. 이는 1차 조사 비율인 12.7%보다 높은 것이다. 반면 “감염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1차 조사 42.7%에서 2차 조사 29.2%로 줄었다.

응답자의 83.7%는 코로나19라는 질병이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56.4%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사회가 코로나19에 취약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응답자의 84.5%가 지역사회 취약성에 동의했다.

유 학회장은 뉴시스에 “전염병 출몰 초기와 현재 코로나19에 대한 국민감정의 양상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며 “사망자가 늘고, 중요한 예방수단으로 권고한 마스크를 구할 수 없고, 자가격리 규칙을 지키지 않는 다른 시민의 소식을 접하며 느끼는 불안은 불만 및 불신과 결합하는 것이기에 초기 불안에 대응하는 소통과 차별화된 더욱 세심하고 특히 책무성이 강화된 위기소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학회장은 또 “이번 조사로 일상깨짐을 경험하고 있는 일반 국민, 특히 대구·경북 주민들의 정신·심리 건강 위협 수준을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이 미루면 안 될 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