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학들이 개강 연기를 결정한 가운데 이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6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는 학생은 80%가 넘었다.
전국대학학생네트워크(전대넷)은 지난달 27일 진행한 ‘코로나 대응 대학가 대책 관련 전국 대학생 긴급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만2613명 중 62.5%가 ‘학사일정 조정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고 2일 밝혔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이들은 35.2%다.
대학생활 관련 피해 부분별(중복선택)로 살펴보면 실기·실험·실습 등 온라인 대체가 불가한 수업 대안 미비가 49.4%로 가장 높았고 온라인 수업 대체로 인한 수업 부실(40%), 기숙사 입사 기간 조정으로 인한 주거 불안(16.2%), 군 입대·국가고시 등 주요 일정 변경(5.8%)이 뒤를 이었다.
참여 학생 중 등록금 반환이 필요하다고 답한 이들은 83.8%에 달했다.
‘온라인 수업이 대체될 경우 추가 지원이 필요한 항목(중복선택)’은 강의자막·수어통역·수업자료 다운로드 제출 등 배리어 프리지원 70.2%, 온라인 강의 플랫폼 지원 67.3%, 온라인 강의 녹화장비 지원 67.3% 순으로 조사됐다.
또 ‘오프라인 실습 수업이 진행될 경우 필요한 지원’ 항목(중복선택)에는 강의실 방역에 88.6%, 마스크·손 소독제 배치에 88.4%, 열 감지 카메라·레이저 온도계 비치에 68.4%가 투표했다.
전대넷은 “지난달 28일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전대넷 간 긴급 면담에서 ‘학생-교육부-학교 간 정기 회의체 마련 및 교육부 차원의 각 학교별 코로나19 대응TF에 학생 참여 보장 권고, 등록금 반환, 수업권 보장 등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교육부는 코로나 대책위 학생 참여는 교육부에서 권고할 수 없다거나법적으로 등록금 반환은 어렵다는 등 무책임한 답변으로 일관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