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터카 기반 운송서비스인 타다의 드라이버(기사) A씨는 이번주부터 생계가 막막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고객 수요가 줄어들자 타다 측으로부터 차량 운행을 적게하라는 ‘감차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타다 기사는 프리랜서인 터라 감차는 곧 수입 감소로 이어지는 구조다. A씨는 “일방적인 감차 통보로 인해 대비할 시간도 없었다. 당장 생계 자체가 막막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2일 운송서비스 업계에 따르면 타다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고객 수요 감소에 대응해 각 하청업체 별로 감차에 들어갔다. 평일 평소 운행 대수의 20~30%, 주말은 50% 줄이는 식이다. 보유 차량이 적은 일부 하청업체의 경우 주말에 한해 모든 타다 차량의 운행을 멈추기도 했다. 감차로 인해 운전에 나서는 타다 기사들의 수도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타다의 모회사인 쏘카 이재웅 대표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재난기본소득’을 도입하자는 청원을 올렸다. 이 대표에 따르면 재난기본소득은 사회적 재난이 발생해 소득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국민에게 정부가 직접 일정 수준의 돈을 지급해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대표는 “소상공인, 프리랜서, 비정규직, 학생, 실업자 1000만명에게 마스크를 살 수 있는, 집세를 낼 수 있는, 아이들을 챙길 수 있는, 집에서 라면이라도 먹을 수 있는 소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타다 기사들은 이 대표의 청원을 두고 ‘모순적인 행보’라고 비판한다. 생계가 어려운 사람들을 걱정하면서 정작 감차로 자회사 기사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조치 아니냐는 것이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해 타다 이용객이 현저히 줄어든 터라 사업 지속을 위해 감차 운행 조치는 어쩔수 없다는 반응도 있다. 타다 기사 B씨는 “고객 감소에 맞춰 차량 운행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은 이해한다”면서도 “이 대표는 자신의 기업에서 일하는 타다 기사들의 수입을 보장해줄 수 있는 방안이 뭔지 우선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