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벽을허무는사람들 등 장애인 관련 5개 단체는 2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시·청각 장애인 및 중복 장애인 지원 대책에 대한 입장 발표’를 진행했다.
이들은 “코로나19 관련 정부 브리핑에 수어 통역이 도입되는 등 시각 및 청각 장애인에 대한 지원이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시변통인 대책도 있고 장기적으로 보완해야 할 대책도 있다”며 당국의 노력을 촉구했다.
시청각장애인 당사자인 조원석 ‘손잡다’ 대표는 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점자, 확대 문자 등으로 코로나19 안내 자료를 제공하고 정부 브리핑 내용도 컴퓨터 파일로 제공해달라”며 “시·청각 장애인은 의사소통과 정보 접근에 심각한 제약을 받고 지금처럼 모두가 타인과 접촉을 피하는 비상상황에서는 더욱 소외된다”고 말했다.
김철환 활동가는 “129(보건복지상담센터) 수어 상담을 야간까지 확대하고 선별진료소에 투입 가능한 수어 통역 인력을 파악해야 한다”면서 “어린이집 휴원 등에 따른 장애 아동·청소년의 돌봄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29일엔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긴급성명서를 발표하며 장애인 자가 격리자와 확진자를 위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문재인 대통령과 권영진 대구시장에게 간곡히 호소드린다”며 장애인에 대한 검진이 너무 느리다는 점과 장애인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생활지원·간병 대책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서지원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