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한국인 유학생에 대한 중국 대학의 입국 거부 조치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인 유학생들에게는 당장 졸업과 취업 문제, 거주 비용 등 여러 가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중국의 한 대학에서 유학 중인 강모(29)씨는 지난 29일 학교로부터 ‘지역 내 감염병 방역 규정이 강화돼 한국과 일본의 유학생은 허가 없이 중국으로 들어올 수 없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출국을 일주일여 앞둔 시점에 입국 거부 메시지를 받은 강씨는 결국 중국행 항공편을 취소할 수밖에 없었다. 강씨는 “언제쯤 입국하라는 이야기도 없어 사실상 무기한 대기 상태”라고 토로했다.
중국 내 사범대학에 다니고 있는 A씨(28)도 지난 21일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받았다. 대학 측은 “4월 초까지 입국하지 말고 추가 공지를 기다리라”고 했다. 오는 8일까지 입국하라는 권고가 온 지 일주일도 안 된 때였다. A씨는 “한국에서 코로나19 사태가 생각보다 심각해지자 대학에서 입장을 바꾼 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 대학 측의 입국 거부로 한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졸업과 취업 시점이다. 강씨는 “비자 만료 시점이 졸업 기간인 오는 7월”이라며 “입국 거부 기간이 길어져 만약 8월에 학기가 끝나면 졸업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또 “인터넷 강의는 한국에서 듣는다 해도 졸업논문은 중국에서 써야 하는 것도 문제”라며 “학사 일정에 맞춰 세운 취업 계획도 전부 꼬인 상태”라고 말했다. 거주 비용도 문제다. A씨는 “중국 현지에서 지금도 월세만 수십만원씩 계속 빠져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계약 만료를 두 달 앞둔 그는 “입국 날짜도 정해지지 않아 재계약도 어떻게 진행할지 난감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들은 최소한 입국 가능 시점이라도 신속하게 정해졌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강씨는 “지금은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 방침이 시시각각 변하는 건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졸업을 앞둔 학생 입장에선 무작정 시간을 보내는 게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양국 정부가 빨리 협의해 대책을 발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 대학의 한국인 유학생 입국 거부 조치에 대해 “한국인 유학생의 학사 관리 문제를 검토하고 있고 중국으로 유학생을 많이 보내는 다른 국가들의 상황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과 중국 교육부는 지난 28일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양국 유학생의 출국을 서로 자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