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환자 입원시키는 지금 방식으론 비극 막기 어려워”
“코로나19, 개별국가 문제 아닌 인류 전체가 맞닥뜨린 중대도전”
정세균 국무총리는 1일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병실 부족사태에 대해 “확산 추세가 너무 빠르다. 그렇다고 병실을 무한정 늘릴 수도 없다”며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의 제안에 따라 경증 확진자의 경우 지금처럼 입원을 시키는 대신 공공시설을 통한 관리를 하는 것으로 지침을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 총리는 “어제 하루 800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고 대구에서만 650여명의 환자가 늘었다. 오늘도 수백 명의 확진자가 더해질 것”이라며 “아직 1000명이 넘는 확진자들이 집에서 입원을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정 총리는 “확진자 중 약 80%는 의학적 처치가 필요 없는 경증이지만, 기저질환을 가진 분들이나 노령의 어르신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사망자는 대부분 그런 분들이었다”며 “중증이나 위험군에 속하는 분들이 입원을 기다리다가 사망하는 일이 두 번 다시 있어서는 안되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하지만 모든 환자를 입원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지금 방식으로는 그런 비극을 막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한정된 의료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대한병원협회와 의사협회는 그간 축적된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증상이 가벼운 환자는 의료진 보호 아래 공공시설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여러 의견을 듣고 충분히 논의해 오늘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또 “어제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위험 수준을 ‘매우 높음’으로 올리고 각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코로나19는 이제 개별 국가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맞닥뜨린 중대한 도전”이라며 엄중한 대응을 강조했다.
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