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중국인 전면 입국금지의 불필요성을 강조하며 제시한 데이터가 틀린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는 28일 “오류가 있었다”고 인정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는 가운데 청와대가 기초적인 현안 데이터도 혼동하면서 국민 불안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27일 중국인 입국 금지론을 반박하며 “우리나라에 들어오려는 중국인보다 중국으로 향하는 우리 국민의 숫자가 두 배 가까이 더 많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그 근거로 법무부 출입국상황실 종합통계를 인용했다. 그는 “후베이성 이외의 지역에서 입국한 중국인은 지난 26일 1404명, 하루 전인 25일에는 1824명이고 중국에 입국하는 한국인 숫자는 2월 들어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2월 25일 3337명, 2월 26일 3697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000명대로 떨어져 있는 중국인 입국을 막기 위해 전면 입국 금지를 하는 것은 자칫 우리 국민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강 대변인의 설명은 법무부 통계와 달랐다. 법무부에 따르면 강 대변인이 제시한 ‘2월 25일 3337명, 2월 26일 3697명’이라는 숫자는 중국으로 출국한 한국인이 아니라 중국으로 출국한 중국인 수치였다.
청와대는 결국 28일 강 대변인 명의로 서면브리핑을 내고 “전날 서면브리핑 중 중국 입국 한국인 숫자에 오류가 있었다”며 “해당 브리핑 내용을 ‘출국하는 우리 국민 수는 늘어나고 있으며, 중국에서 입국하는 중국인 수는 줄어들고 있다’로 정정한다”고 밝혔다. 또 27일 기준 중국인 입국자를 1093명, 한국 국적을 갖고 있는 중국행 출국자를 1406명이라고 했다. 다만 청와대는 25일과 26일 양일간 중국으로 떠난 한국인 출국자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코로나 사태가 날로 확산되는 가운데 청와대가 기본적인 통계자료 수집에도 실수를 범하면서 비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야권 관계자는 “법무부 통계 찾아보는 데 5분도 걸리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중국인 입국금지론을 반박하려고 유리한 통계를 가져다 쓴 것 아니냐”며 “청와대가 국민 불안을 가중시키고, 정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