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조사 꼭 필요한가요’…광주·전남 실효성에 의문 제기

입력 2020-02-27 16:19 수정 2020-02-27 17:13

광주·전남지역 신천지 신자들에 대한 전수조사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감염 의심자가 거부할 경우 마땅히 강제할 수단이 없는 데다 예비신자인 교육생(학습자)은 제외돼 있기 때문이다.
27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26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넘겨받은 신천지 교회 신도명단을 토대로 감염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해당 명단은 광주 2만2880명, 전남 1만3597명 등 3만6477명으로 이름 주소 성별 전화번호 등이 적혀 있다. 시와 도는 분류작업을 거쳐 코로나19 담당부서 등을 제외한 전체 실·국 직원들을 동원해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시는 이날 오전 본청과 종합건설본부, 상수도사업본부 소속 공무원 1400여명을 동원해 전화통화를 활용한 문진을 시작했다. 신도의 휴대전화 등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최근 확진환자 접촉과 호흡기 증상, 발열 여부를 묻고 확인하는 방식이다. 현재까지 조사에 응한 신도 중 200여명이 목 아픔 등을 호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의 전수조사도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전남지역 확진자는 27일 기준1명에 그쳐 도는 상대적으로 느긋하게 전수조사에 임하고 있다.
하지만 예비신자 성격인 광주지역 교육생 5378명 등이 명단에서 아예 제외된 데다 비협조적인 신도에는 신속한 조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해 전수조사의 성과가 불투명하다. 시가 당초 전수조사가 교육생을 포함한 전체 신도 3만2000여명을 일일이 확인·관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가 2~3일 만에 방침을 변경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용섭 시장은 지난 24일 자신의 SNS에 올린 ‘시장이 직접 밝히는 코로나19 진실 혹은 거짓! ‘코로나19 팩트체크’를 통해 사실상 전수조사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관리체계에 들어갔다며 그보다는 감염자와 접촉자를 신속히 찾아내 조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가 실시되자 시는 2~3일만에 결국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다시 선회하는 혼선을 빚었다. 시는 신천지교회와 공동으로 구성한 전담팀 중심의 협조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이유로 강제행정명령에도 미온적이다가 뒤늦게 이를 발동하기도 했다. 이 시장과 5개 구청장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수그러들지 않자 “오는 3월11일까지 전체 신천지교회와 선교센터 등 92개 시설을 강제 폐쇄하고 예배를 위한 집회를 불허하는 등 2단계 대응전략을 구사해 감염확산 방지의 완결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신천지 예배·모임은 물론 자치구와 공공기관 등의 집회·행사 등 다중 집합행사가 금지된다. 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기본적인 교인 실태조사 등을 지금까지 신천지에만 일방적으로 의존해 지나치게 안일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시장은 “강제조치가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해 신천지가 참여한 전담팀을 가동해왔지만 이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돼 강도 높은 조치에 들어갔다”고 해명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