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일본 현지 상황이 전해졌다.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는 26일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전했다. 그는 “지금 일본은 올림픽 때문에 검사를 못 받게 하는 상황이다. 일본 전국에서 지역 감염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고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너무 많다”며 “국민들이 불안감을 느껴 여론이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일본 국내 검사자 현황을 보면 약 1000명 정도”라며 “현재 우리나라는 하루에 5000명 정도 검사를 하는데, 지금까지 일본은 크루즈선 3800명을 합쳐도 약 5000명 정도밖에 검사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현재 △중국을 방문했던 사람 △확진자와 깊게 접촉한 사람 △확진자들이 나온 지역을 방문한 사람만 검사를 진행하는데, 이들 중에서도 ‘37.5도 이상이 약 4일간 지속되는’ 사람이라는 조건을 붙였다. 또 일본 정부는 “의사 개인의 종합 판단에 맡긴다”고 책임을 미뤘지만 의사들은 검사 자체를 실시하지 않는 방향일뿐더러 개인이 희망해 검사를 진행할 경우에는 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약 3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실질적인 질병 관리가 되고 있지 않는 상태다.
이 교수는 “일본에서는 희망자라 하더라도 검사를 못 받고, 임신부인데도 불구하고 검사를 안 해 주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을 받지 못하게 해서 확진자 숫자를 억누르는 정책을 펴고 있다”며 “일본 내 전문가들이 인플루엔자 확대 경로를 적용해 시뮬레이션했더니 실제 확진자는 1만 명이 넘었을 수도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현재 일본 국내에서 코로나19 발표에 대한 불신이 약 82%다. 감염 숫자가 여기서 더 많이 나오게 된다면 올림픽도 못 열게 되지만 대책 없이 방치한 아베 정권의 실패가 크게 지적될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국민 개인을 희생해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걸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최근 한국의 사례를 일본 여론이 주목하고 있다”며 “한국이 일본보다 의료체계가 뛰어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저 정도로 노력하는데 일본은 왜 그렇게 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는 “시스템 자체가 고정된 아베 정권에 일본은 국민적 패닉 상태에 빠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