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7일 통화정책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확산이 급속도로 진행해 경제에 상당한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고조되면서 금리를 전격 인하하리라는 전망도 부쩍 늘었지만 일단 금통위가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좀 더 지켜본 뒤 통화정책 변경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주열 총재는 지난 14일 “추가 금리 인하에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을 고려할 때 4월 중 인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한국경제학회장)는 “이미 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큰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란 판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경제 위기를 대비해 ‘실탄’을 확보해 두려는 목적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0.25%포인트씩 인하하는 것은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기 어렵다”며 “향후 정말 위기가 찾아온다면 0.50%포인트 이상 내릴 경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고강도 규제를 통해 가까스로 막고 있는 집값 상승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한은이 금리 인하에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이 소비는 물론 투자, 수출 등 국내 경제 전방위에 걸쳐 타격을 가하는 게 속보 지표들에서 차례로 드러나고 있는 만큼 한은이 신중론을 펴다가 때를 놓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제 4월 인하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이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달 동결은 인하 시점을 4월로 연기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