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압텐트, 방호복 공급난 우려…코로나19 보호·의료장비 태부족

입력 2020-02-26 16:25 수정 2020-02-26 16:4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필수품이 된 마스크 등 보호·의료장비 품귀현상이 확대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음압텐트, 방호복, 음압구급차량 등 의료장비도 태부족이다. 마스크에서 시작된 각종 장비 부족도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악화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
26일 정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가 1100명을 넘어섰지만 비상진료에 필수적인 ‘음압에어텐트’가 모자라 선별진료소 운영 등에 적잖은 차질을 빚고 있다. 음압병상을 대신하는 음압텐트는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을 계기로 각 지자체가 저마다 보유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분주하다. 하지만 공급량이 달려 납품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1채 당 가격이 1700만원 안팎인 음압텐트는 보통 너비 6m, 길이 12m, 높이 2.75m로 몽골텐트와 비슷한 모양이다. 압축공기 실린더와 에어 블러워 등으로 밀폐된 공간에 공기를 넣은 뒤 음압조절 환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방수천으로 사방을 차단한 이 텐트는 감염병 환자 격리를 위해 5분여만에 비교적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과거 서해페리호 참사 등 주로 구난구조 현장에서 활용됐다. 1채당 제작기간은 3~4일 걸린다.
음압텐트는 코로나19사태 이후에는 ‘격리병동’으로 손쉽게 전환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주문이 폭주하고 있다. 그런데 국산 제조업체는 고작 1곳에 불과해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늘어날 경우 공급난이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더구나 중국산 중간재 수입이 중국 현지 업체 사정으로 끊기면서 벌써부터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압텐트 제작업체인 경북 상주 A산업 관계자는 “사실상 24시간 비상가동하고 있지만 주문이 한꺼번에 밀려들어 납품기일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음압텐트 보유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계약을 맺었으나 납품이 늦어져 애를 태우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시·군별 선별진별소 설치에 들어간 전남도는 22개 시·군에서 현재 총 39채의 음압텐트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암·진도군은 음압텐트를 전혀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여수·나주·광양시, 구례·보성·장흥·신안군은 고작 1채에 불과하다.
음압구급차량과 방호복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음압구급차량은 광주에 1대, 전남에는 아예 1대도 없어 향후 환자수송 수요가 늘어나면 신속한 대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93억원을 들여 29대의 음압구급차를 도입했지만 코로나19 현장에서 활용도가 낮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특수구급차인 음압구급차는 내부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기압이 조절된다. 종전 국립중앙의료원 보유 1대를 포함해 현재 전국에 30여대가 주요병원에 배치돼 있다.
의료진과 구급·보안요원들이 착용하는 레벨D급의 방호복 역시 재고량이 넉넉하지 않다. 보호안경(고글)과 방호복, 장갑, 덧신, 마스크로 구성된 방호복은 한번 입으면 폐기해야 되는 1회용이다. 광주광역시가 보유 중인 방호복은 1000세트로 지정 감염병전문병원 등 5곳에 공급하기에는 태부족이다. 확진환자 이송요원까지 방호복을 착용해야 돼 수량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고량은 1주일분도 되지 않는다.
이밖에 가장 기본적인 마스크는 정부와 식약처가 27일부터 약국 150만장, 우체국, 농협 등을 통해 200만장 등 하루 350만장씩을 시중에 공급하고 수출물량은 생산업체 기준 10%로 제한했지만 아직 공급난은 여전하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