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 지역 중 대구·경북 청도 방문력이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고 26일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주재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일본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 이외 지역을 입국 제한 체류지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중국 후베이(湖北)성과 저장(浙江)성 체류 이력이 있는 외국인에 대해서는 입국을 거부한 바 있다.
입국 제한 대상은 일본 입국 신청일을 기준으로 2주 이내 대구와 청도를 방문한 외국인이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이같은 방침을 27일 0시부터 시행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외국으로부터 코로나19 유입을 막는) ‘미즈기와’(水際) 대책을 철저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인의 방문에 주의를 촉구할 뿐만 아니라 감염이 확대되는 지역으로부터 일본에 감염자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은 불가결하다”고 덧붙였다.
또, 대구와 청도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이송을 위한 전세기 파견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전세기 파견) 실적이 있는 후베이성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현시점에서는 대구와 청도에 체류 중인 일본인이 자신의 의사로 나올 수 없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인식 중”이라고 했다.
일본 외무성은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에서 지난 19일 이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코로나19 사례가 급증해 24일까지 607건이 확인됐다”며 “이들 지역의 감염증 위험경보를 ‘레벨2’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레벨2는 ‘불요불급’(不要不急, 필요하지 않고 급하지 않음) 상황이 아닌 이상 방문 중지를 권고하는 단계다.
일본의 이같은 방침에 외교부는 “입국제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인 것을 사전에 외교 경로로 통보받았다”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우리 측의 노력과 한국 국민 또는 여행객들에 대한 과도한 조치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측의 신중한 대응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