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봉쇄는 안 하고 대구·경북을 봉쇄한다고? 정말 열 받는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책을 내놓으며 ‘대구·경북 봉쇄 조치’라는 용어를 쓴 것에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이 격앙된 반응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25일 코로나19 확산과 이에 따른 경제 둔화를 막기 위해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방역상 봉쇄’ 조처를 하고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대구·경북 지역에 통상 방역 조치보다 최대한의 방역 상 봉쇄 조치를 시행해 추가 확산을 조속히 차단하기로 한 것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기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최대한의 봉쇄 정책을 시행’한다는 의미는 방역망을 촘촘히 해 코로나19 확산 및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의미하며 지역 출입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런데도 대구·경북 주민들 사이에선 ‘봉쇄’란 단어를 쓴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반응이 줄을 잇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봉쇄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 의미가 경우에 따라서는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질문이 나오는 것 같다”며 “당·정·청의 진의를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의학적 의미로서 봉쇄라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겠지만 잘못된 의미로 사용됐을 경우엔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봉쇄의 진의를 몰라 답을 할 수 없으나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무슨 뜻인지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됐다”며 “중국 우한 같은 폐쇄를 한다는 것인지, 지금 (시·도민)에게 요청한 이동 제한과 자가 격리 등을 조금 강하게 이야기 한 것인지 충분히 파악해 이야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렇게(봉쇄)까지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시민 김영주(61)씨는 “진작 했어야 할 중국 봉쇄를 못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는 판국에 대구·경북을 봉쇄한다고 하니 진짜 열 받는다”며 “4월 총선에서 야당을 지지해 무능한 현 정권을 심판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민 박모(46)씨는 “봉쇄를 한다니 뭘 어떻게 한다는 것이냐”며 “정부와 정치권에서 대구 사람이 질병을 유발한 것도 아니고 일부러 퍼뜨린 것도 아닌데 그렇게 낙인을 찍어도 되는 것이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대구시민 이모(37·여)씨는 “아이와 함께 밖에 나가지도 못하는 생활을 일주일 가까이하며 하루하루 현실 같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며 “감염병 생활 수칙을 지켜가며 묵묵히 사는 시민들을 정치권은 매도하지 말라”고 말했다.
안동시민 권오석(54)씨는 “대구·경북지역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진 것은 전적으로 국가의 위기관리 능력이 부족한 탓”이라며 “현 정권은 격앙된 지역 민심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 눈치만 보는 눈치정권이자 무능정권”이라고 성토했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대구 수성구갑)도 이날 신종코로나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당정청 협의회에서 나온 ‘대구·경북 봉쇄’ 발언 파문에 대해 “대구·경북 주민들의 마음에는 또 하나의 비수가 꽂혔다”고 개탄했다.
문재인 정부 첫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낸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오해받을 봉쇄조치 발언, 배려 없는 언행, 일체 삼가해 주시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발언의 취지야 코로나19의 전국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을 철저히 하겠다는 뜻일 것”이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급하게 해명하기는 했지만 왜 이런 배려 없는 언행이 계속되는지 비통한 심정”이라고도 말했다.
대구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