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봉쇄’에 술렁…文 직접 해명 지시 “지역 봉쇄 아냐”

입력 2020-02-25 12:30 수정 2020-02-25 12:44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2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구·경북지역 최대 봉쇄조치’를 통해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홍익표 수석대변인이 언급한 ‘최대 봉쇄조치’가 ‘이동권 제약’인지를 두고 한바탕 논란이 일었다. 대구 경북 지역의 민심이 동요하자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라고 지시하고 나섰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오늘 아침 고위 당정협의회 브리핑에서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한다는 표현이 있으나, 이는 지역적인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19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뜻임을 분명히 밝히라고 문 대통령이 대변인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가 끝난 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되는 현 단계에서 봉쇄 정책을 극대화해 전파를 초대한 차단하기로 했다. 대구와 경북 청도 지역은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어서는 최대한의 봉쇄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고 브리핑했다. 이어 “봉쇄 조치는 정부 측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이동 등의 부분에 대해 일정 정도 행정력을 활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국무회의에서 자세한 내용이 의결되면 정부가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이동 제약 등에 대한 행정력 활용 조치가 사실상의 대구·경북 봉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특히 대구 경북 지역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정말로 대구가 봉쇄되는 것이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민주당은 뒤늦게 기자들에게 문자를 통해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한다는 의미는 방역망을 촘촘히 하여 코로나19 확산 및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의미하며, 지역 출입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홍 수석대변인도 이후 브리핑을 통해 “사실관계를 바로잡겠다. 봉쇄 개념이 일반적인 부분 이야기한 것처럼 지역봉쇄의 의미가 아니다”라며 “대구 봉쇄를 우한 봉쇄 연상하듯 (언론보도가) 나가는 건 사실이 아니다. 방역 전문용어로 봉쇄와 완화를 쓴다. 코로나를 조기 차단하기 위해서 조기에 봉쇄하고 완화한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여당 수석대변인의 부주의한 브리핑이 불필요한 혼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대구 수성구갑의 김부겸 의원도 “급하게 해명하기는 했지만, 왜 이런 배려 없는 언행이 계속되는지 비통한 심정”이라며 “발언의 취지야 방역을 철저히 하겠다는 뜻이겠지만 그것을 접하는 대구경북 시민들의 마음에는 또 하나의 비수가 꽂혔다”며 우려를 표했다.

박재현 임성수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