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극장 관객수가 16년 만에 처음으로 8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극장업계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1998년 멀티플렉스 도입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우려가 나온다.
25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전날 극장을 찾은 관객은 7만7071명에 불과했다. 6만6973명을 기록했던 2004년 5월 31일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010년대 들어 10만명을 넘지 못한 날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2016년 4월 5일에도 9만4906명으로 10만명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전날 박스오피스 1위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은 2만2911명을 불러모으는 데 그쳤다. 개봉 6일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도 누적 관객이 아직 40만명을 넘기지 못했다. 2위와 3위에 오른 ‘1917’과 ‘정직한 후보’도 각각 2만명을 밑돌았다. ‘작은 아씨들’ ‘클로젯’ ‘기생충’ 등 나머지 10위권 작품들은 각각 1만명이 채 안 되는 수준이다.
상위 10편의 평균 좌석 판매율은 현재 3.5% 정도에 불과하다. 영화에 배정된 좌석 100석 중 3석 정도만 팔렸다는 의미다. 사실상 텅 빈 극장이 돌아가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 개봉 예정작이었던 ‘사냥의 시간’ ‘후쿠오카’ ‘이장’ ‘결백’ ‘콜’ ‘기생충’ 흑백판 등 작품들이 줄줄이 개봉을 연기하면서 3월 극장가는 더욱 침체할 것으로 보인다.
극장들은 사실상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상영 회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구 지역 상영관은 상영 회차를 절반 가까이 줄였다. 롯데시네마를 운영하는 롯데컬처웍스는 임원임금 20%를 자진 반납하고 직원들에게는 무급휴가를 독려 중이다.
박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