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25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대구·경북지역을 찾아 관련 대책을 진두지휘한다. 총리 출신 첫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으로서 사태 수습에 직접 나서겠다는 것이다.
정 총리는 2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으로서 현장을 찾아 지휘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날 코로나19 관련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했다.
정 총리는 “대구·경북에 코로나19 환자가 굉장히 많다. 이 문제는 단순히 대구·경북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인 문제”라며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지 않고 범정부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부처 장관들이 현장에서 상황을 직접 파악·점검하고 있다”며 “총리실과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도 현장에 상주하며 애로점이나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지금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구·경북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특별재난지역은 주로 태풍이나 다른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발동됐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과는 잘 맞지 않는 것 같다”며 “국가적 문제로 총력 대응할 것이기 때문에 특별재난지역을 굳이 선포하지 않더라도 그 이상의 조치들이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마스크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책도 발표했다. 정 총리는 “마스크 수출량을 제한하고 생산량의 많은 부분을 내수에 활용되도록 할 것”이라며 “생산량 중 절반 정도는 공적 유통망을 통해 실수요자에게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의료진에게 필요한 마스크는 100% 차질 없이 공급되도록 고시를 준비해 내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겠다”고 강조했다.
추가경정에산안(추경안) 편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정 총리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필요한 재원은 충분히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코로나19를 극복한 이후 경제적 어려움이 매우 클 것이고 그 때는 현재 갖고 있는 예비비나 가용 재원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침 여야를 가리지 않고 추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만큼 정부로서는 미리 있을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해 준비를 하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즉시 추경안을 편성해 국회에 보고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