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사가 지난해 전원 복직 후 경영난으로 다시 유급 휴직에 들어간 해고 복직자들을 일터로 복귀키로 결정했다. 2009년 4월 해고 사태 이후 11년, 약 4000일만이다.
쌍용차 노사는 사회적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유급 휴직 중인 해고 복직자들을 오는 5월 1일부로 부서 배치키로 합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쌍용차는 지난해 해고자들을 복직시키기로 결정했지만 고강도 경영 쇄신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복직자들을 즉시 업무에 투입시키지 못한 상태였다. 노사는 지난해 9월 복지 중단 및 축소 등 경영쇄신 방안에 합의 후 12월 전직원이 임금 및 상여금을 반납하고 사무직 순환 안식년제(유급휴직)를 시행해왔다. 복직된 해고자들 역시 이에 맞춰 유급 휴직(통상 임금의 70% 지급)으로 전환됐다.
경영정상화 방안이 순조롭게 추진되면서 쌍용차와 노조, 금속노조 쌍용차지회,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노·노·사·정 4자 대표들은 해고 복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달 21일 협의를 시작했다. 그리고 총 네 차례의 상생발전위원회를 거쳐 노사는 유급 휴직자 부서배치에 최종 합의하게 된 것이다.
유급 휴직자 46명은 오는 5월 1일부로 부서 배치되고 두 달간의 직장 내 교육훈련(OJT) 및 업무 교육을 거쳐 7월 1일 현장에 배치된다.
이번 합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 등 전반적인 자동차 산업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쌍용차 노사가 사회적 합의를 마무리지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노·노·사·정 대표는 2018년 9월 해고자 복직에 합의했고, 쌍용차는 그해 12월 신차 생산 대응 및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추가 인력 소요에 대응하기 위해 해고자 복직 대상자의 60%에 대해 추가 복직을 시행했다. 나머지 인원 역시 지난해 상반기에 복직을 완료함으로써 해고자 복직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 사항을 이행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재무구조 개선 및 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인 자체 경영쇄신 방안과 더불어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주주를 포함한 여러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방안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상생 노사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회사의 성장과 고용안정이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제품경쟁력 확보와 판매 증대에 더욱 박차를 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