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3일 감염병 위기경보를 현행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함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세균 국무총리가 본부장을 맡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본부장 아래에는 2명의 차장이 방역과 범정부대책지원을 담당한다. 1차장 겸 중수본 본부장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맡아 방역업무를 총괄한다. 2차장 겸 범정부대책지원 본부장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이 맡는다.
박능후 중수본 본부장은 “국무총리가 본부장을 직접 맡는 것은 최초의 사례”라며 “본부장 아래에는 2명의 차장을 둬 코로나19 대응에 효과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열린 코로나19 범정부대책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감염병 전문가들의 권고에 따라 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올려 대응 체계를 대폭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나뉜다.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이 확인되면 위기경보는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된다. 이 경우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이 감축되고 각급 학교의 휴교 등 적극적인 조치가 실시된다.
정부가 감염병 위기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한 것은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때가 유일했다. 2005년 메르스 때는 두 번째 단계인 ‘주의’ 수준에 머물렀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