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당국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된 수출을 살리기 위해 최근 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전시회를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내용의 수출 대책을 발표했다. 그런데 발표 직후 코로나19가 걷잡을 수 없이 퍼지면서 전시회 정상 개최가 가능하겠느냐는 회의론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를 열고 수출 기업들의 국내 전시회는 정상 추진하자는 내용이 담긴 수출지원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대책에서 정부는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전시회를 예정대로 진행해 민간 전시회가 정상 개최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시산업진흥회 차원에서 ‘코로나19 대응센터’를 만들어 방역 관리를 철저히 하고, 공공이 주최하거나 바이어 등 해외기업이 참여하는 전시회는 가급적 예정대로 개최하도록 권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등 세계적인 전시회 취소 등으로 인한 비즈니스 수요를 국내 전시회로 연결해 수출 판로를 개척하는 사업도 예정대로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었다.
이 대책을 발표했던 때만 해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두 자릿수에 불과했지만, 불과 며칠 사이에 확진자 수가 600명을 돌파하자 회의론이 제기됐다. 정부 관계자는 23일 “지난주에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됐기 때문에 정부 대책도 수출 지원에 방점이 찍혔었는데 며칠 새 상황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장 다음 달부터 지역 수출 활력을 이끌기 위한 ‘수출활력촉진단’을 가동해 부산에서부터 순회 상담회를 열기로 했지만, 이 역시 코로나19 확산으로 계획대로 진행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중국으로 예정됐던 국내 기업들의 해외 전시회 및 무역사절단 파견도 신남방·신북방 국가 등으로 지역을 바꿔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하지만 이 대책도 복병을 만났다. 신북방 국가에 속하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은 한국인 입국 시 2주간 자가·병원 격리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