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지속적인 한국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 보고돼”
미국, 일본에 대해서도 여행경보 2단계 내려
우리 외교부 “주의 기울이라는 뜻. 여행 금지는 아냐”
미국 국무부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와 관련해 한국에 대해 여행경보 2단계를 내렸다. 특히 미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노인들과 만성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불필요한 여행을 연기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미 국무부는 22일(현지시간) 한국에 대해 ‘강화된 주의 실행(Exercise Increased Caution)’이라는 황색 여행경보를 발령했다. 높은 위험이 있으니 한국을 방문하는 미국인들은 특별한 조심과 예방조치를 취하라는 의미다.
미 국무부의 여행경보는 4단계다. 1단계가 ‘일반적인 사전 주의(청색 경보)’이고, 2단계가 이번에 한국에 내려진 ‘강화된 주의 실행(황색 경보)’이다. 3단계는 ‘여행 재고(오렌지색 경보)’이며 4단계는 ‘여행 금지(적색 경보)다.
미 국무부는 그동안 한국에 대해 1단계 경보를 발효하고 있었으나 이번에 한 단계를 높였다. 한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들이 급속도로 늘자 여행경보를 격상한 것이다.
미 국무부는 “한국의 많은 코로나19 사례는 중국 여행이나 여행과 관련된 긴밀한 접촉과 연관된 사례들이 많았지만, 지속적인 지역사회의 (감염) 확산이 보고됐다”고 여행경보 격상 이유를 설명했다. 국무부는 또 “지속적인 확산은 한국에서 사람들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지만 그들이 어떻게, 어디서 감염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확산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국무부는 한국 여행과 관련해 의료진과 상의할 것을 당부했다. 또 노인이나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여행객들은 더 심한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국무부는 이날 일본에 대해서도 여행경보를 기존 1단계에서 2단계로 높였다. 국무부는 홍콩과 마카오에 대해서도 이미 2단계 여행경보를 발령했으며 중국에 대해선 지난 2일 4단계인 여행 금지 조치를 취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한국에 대해 2단계 여행경보를 발령했다. CDC의 여행경보 내용은 3단계이며, 국무부와 비슷하지만 이름은 조금씩 다르다. 1단계는 ‘일반적인 사전 주의 실행’, 2단계 ‘강화된 사전 주의 실시’, 3단계는 ‘불필요한 여행 자제’다.
CDC도 “한국은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질병이 전염되는 것을 경험하고 있다”면서 “바이러스는 사람과 사람 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CDC는 특히 “한국에서 아픈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을 피하라”면서 “만약 한국에서 지난 14일 동안 머물렀는데, 고열이나 기침, 호흡곤란 증세를 느낄 경우 의료기관에 전화해 한국 방문 사실과 증세를 설명하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할 것”을 권고했다.
우리 외교부는 “코로나19와 관련한 미 국무부의 여행권고 조정(2단계)과 CDC의 여행공지(2단계)는 미국 정부가 자국민들이 한국·일본으로 여행할 경우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구하는 차원에서 취한 것”이라며 “이는 한국과 일본으로의 여행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미 국무부는 각국 상황을 토대로 여행권고를 수시로 조정하고 있으며 각종 기준에 따라 영국·독일·프랑스 등을 포함한 70여개국이 현재 미 국무부 여행권고 2단계에 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