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2차 예방 전환…위기경보 격상해야” 전문가들의 권고

입력 2020-02-22 20:44 수정 2020-02-22 20:45
뉴시스

국내 감염병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진단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2차 예방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또 지역사회 감염 확산으로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할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대한감염학회·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대한소아감염학회·대한예방의학회·대한응급의학회·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대한중환자의학회·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임상미생물학회·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한국역학회 등으로 구성된 범학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책위원회는 22일 오후 6시 서울 강남구 대한감염학회 회의실에서 대정부·대국민 권고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전염력이 높은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를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아제는 확진자 발견과 접촉자 격리 등 차단 중심의 봉쇄전략에서 지역사회 확산을 지연시키고 이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전략(2차 예방)의 방향으로 전환해 니가야 할 시기”라고 주장했다.

“지역사회 차원의 통합방역활동체계가 강화될 수 있도록 빠르게 조치를 시행하고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비상 의료전달체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한 이들은 “고위험 환자들이 일반 의료기관에서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발열-호흡기 선별진료를 전담하는 의료기기관과 코로나19 치료병원 지정 및 지원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정확한 상황 판단을 위한 정보를 국민들과 빠르게 공유하며 방역당국에 대한 신뢰가 제고될 수 있도록 위기소통활동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한 이들은 “열, 호흡기 증상이 있는 아이들이나 학생, 직장인은 진단서가 없어도 공결이나 병가를 쓸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아픈 아이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병가를 쓰는 것으로 인한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대한감염학회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 한국역학회도 같은 날 ‘심각 단계의 위기에 처한 코로나19, 국내확산과 완화전략에 대한 전문가들의 조언’이란 제목의 권고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해 온 나라가 하루 생활권인 우리나라는 위험에 처했다”며 “우선 이번 주말부터라도 전국적으로 다중이용시설(종교시설 등) 사회활동에 대한 강력한 자제를 권고한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또 “대구로부터 시작된 확산이 통제될 때까지 몇주 동안이라도 더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감염병 위기경보도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학회는 “경증 의심환자들은 자가격리를 하면서 질병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은 선별해 진료하는 이른바 ‘완화’ 전략으로 장기전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