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면서 지역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통한 의료체계 보강이 절실할 시점이다.
대구시는 21일 의료 인력 보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대구에서도 2명의 의료 인력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대구시는 의료 인력이 무너지면 방역체계가 무너진다고 보고 의료인 보호를 위한 모든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먼저 의료인력이 확진자를 진료해도 자가격리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보호 장비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비용은 대구시가 모두 부담하기로 했다.
대구에는 음압병상이 65개 있지만 이미 포화 상태다. 이 때문에 일반병동을 비워 확진자들을 받는 체계로 바꿨지만 증가 속도로 볼 때 이도 버티기 힘든 상황이다.
대구시는 이에 이날 오전 국무총리 주재 중수부 확대회의에서 ‘군 병원 즉시 활용’ ‘계명대 동산병원 감염병 전문병원 지정’ ‘군 등 가용가능 의료인력 지원’ 등을 건의한 상태다.
대구시는 정부로부터 25명의 공중보건 인력을 지원 받았지만 일선에서 선별진료소 역할을 하는 대구 8개 구·군의 보건소 기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또 신천지 신도들을 전담할 검사 인력과 상담 등 시민들을 위한 인력 등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다.
대구시는 증상자들을 선별진료소로 나와 검사받도록 하는 방법 이외에 전문인력이 자가격리 중인 집에 방문해 검사하는 방법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자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 취약 계층에 마스크를 배부하는 것 이외에도 일반 시민들이 약국에서 마스크 등을 구입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