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학 기숙사에 격리하지 못한 중국 유학생들을 인재개발원 등 시 차원 임시거주공간에 격리하기로 했다. 하지만 기숙사에 못 들어가는 중국 유학생만 최소 1만4000명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이날 대책으로 제시된 인재개발원 숙소는 30실에 불과해 미봉책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에서 입국한 내외국인 학생·교직원들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2주 격리 뒤 등교해야 한다.
서울시는 21일 서울시 기획상황실에서 교육부, 시내 주요 대학, 자치구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중국입국 유학생 보호·지원방안’ 대책회의를 열고 임시거주공간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사이버대학교를 제외한 서울시내 대학을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은 49개 대학교 3만4267명이다. 이 중 대다수(3만2590명)가 15개 주요 대학에 다닌다. 하지만 15개 대학의 기숙사 방은 1만8305실에 불과하다. 중국인 유학생들을 모두 기숙사에 넣는다고 가정해도 1만4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없다. 21일 기준 앞으로 입국 예정인 중국 유학생은 1만7000여명으로 예상된다.
이에 서울시는 임시거주공간을 확보해 지원하기로 했다. 우선 현재 취약계층의 격리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서초구 인재개발원을 우선 지원하고, 앞으로 추가 발굴해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인재개발원 격리실이 30실에 불과해 한계가 있다.
우선 임시거주공간 지원대상은 입국 시 의심증상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유학생과 확진자와 접촉한 것으로 판명돼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지만 갈 곳이 없는 유학생이다. 상시 방역과 식사, 필요 물품을 지원한다.
신규계약 거부, 기존계약 파기 등 불가피하게 거주지 확보를 못 한 유학생, 기숙사 입주 예정자 대학이 공간 마련을 못 한 유학생을 위한 예비 임시거주공간은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중국 유학생 입국 시 공항→학교까지 셔틀 운행을 지원하기로 했다. 각 대학에서 학교버스, 콜밴을 우선 운영하면 서울시가 셔틀운행 관련 비용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중국 유학생의 ‘자가진단 앱’ 정보를 서울시, 대학들과 공유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 유학생들은 입국 시 ‘자가진단 앱’을 설치해 하루에 한 번씩 건강상태를 입력해야 한다. 건강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추가 안내와 전화를 받게 되며, 유선으로 연락이 닿지 않으면 지자체 등이 위치 파악에 나선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