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한국 ‘코로나19’ 관리 가능…역학적 변화 신호 아냐”

입력 2020-02-21 04:33 수정 2020-02-21 07:26
뉴시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지시각으로 20일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것과 관련해 특별한 변화를 알리는 신호는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관리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한국이 보고한 확진자 수는 지금까지 104명”이라며 “한국 당국이 억제하기 위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초기 단계에서 발병이 억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브리핑에 배석한 올리버 모건 WHO 보건긴급정보 및 위험평가 국장도 한국의 발병 사례가 “몇몇 개별적인 집단(clusters)”에서 유래했다면서 “역학적으로 봤을 때 전 세계적으로 특별한 변화를 알리는 신호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한국 당국이 긴밀하게 추적하고 있다”면서 “수치는 꽤 높아 보이지만 대부분 기존에 알려진 발명과 연계돼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WHO 연구·개발(R&D) 블루프린트’가 우선시한 ‘코로나19’ 치료법 가운데 두 가지 임상 시험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그는 “하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인 ‘리토나비르’와 ‘로피나비르’를 결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드렘디시비르’라고 불리는 항바이러스제로, 현재 테스트 중이다”라고 알렸다.이어 “우리는 3주 내로 예비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무총장은 또 “중국에 파견된 WHO 주도의 국제 전문가팀이 현지에서 중국 전문가들과 함께 코로나19의 전염성 및 중국이 취한 조처의 영향 등 우리가 모르는 것들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본이 요코하마 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호에서 승객을 하선한 것과 관련해 “일본은 국제 보건 규정에 따라 마련된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나라들과 정기적인 연락을 취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해당국은 배 안에 있던 자국 승객들을 추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WHO는 이날 오전 6시 현재 중국 내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2121명, 확진자 수는 7만4675명, 중국 외 지역에서는 26개국에서 사망자 7명, 확진자 1076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