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20일 긴급 관계장관 회의를 소집해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전염 확산 시작단계에 접어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 대책을 논의했다.
정 총리는 이날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21일 오전 8시 열리는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에서 추가 논의를 이어 간 뒤 관련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어 청와대로 향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관련 상황을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6시부터 2시간 30분가량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중앙사고수습본부장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함께 긴급 관계장관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선 대구·경북에서 확진자가 집단으로 발생한 데다 서울 등지에서 감염 원인과 경로 확인이 어려운 확진 사례가 추가로 나타난 것을 놓고 상황을 점검하고 지역사회 전염 확산 차단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대구·경북지역에 가용한 인적·물적 자원을 투입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정부는 회의에서 역학조사관과 음압격리병상 등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의 요구사항을 가능한 모두 수용하기로 뜻을 모았다.
회의에서는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격상 방안도 깊게 논의됐다.
정부가 현 상황을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되고 있는 단계로 판단하는 만큼 현재 ‘경계’ 상태로 유지 중인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 단계로 올리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 중이다. 심각은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정부는 그동안 위기경보 격상과 관련해 ‘현행 유지’ 입장을 견지하며 유보적 태도를 보여왔다. 지역사회 전파가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경보를 격상할 경우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이 회의에서 위기경보 격상 방안을 놓고 심도깊은 논의를 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이날 밤 상황을 더 지켜보고 21일 확대 중수본 회의에서 추가로 논의하기로 했다.
다만 계속해서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정부의 강력한 대응의지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곧 위기경보를 올릴 가능성에 점점 무게가 실린다.
정 총리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확대 중수본 회의를 마친 뒤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만나 현 상황을 보고하고 추가 대책에 대해 논의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