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하나투어, 모두투어, 노랑풍선 등 국내 주요 여행업계가 비상경영에 돌입했다.
국내 여행업 1위 업체인 하나투어는 다음 달부터 2개월간 전 직원을 대상으로 주 3일 근무를 도입한다고 20일 밝혔다.
주 3일제 근무 시 직원들에게는 기존 임금의 80%를 지급할 계획이다. 근무 일수에 따라 원칙적으로 임금 60%를 지급해야 하지만 직원들의 상황을 고려해 고용노동부의 고용유지지원금과 휴직 수당을 활용해 80%를 맞추겠다는 것이 하나투어의 설명이다.
모두투어 역시 다음 달부터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최대 2개월간 유급휴직 제도를 시행하면서 해당 기간 직원들에게 70%의 임금을 보장하기로 했다. 앞서 희망자만 신청받기로 한 무급휴직은 취소하기로 했다고 모두투어는 전했다.
노랑풍선도 지난주부터 전 직원이 주4일 근무에 들어갔으며 다른 업체들과 마찬가지로 고용노동부의 고용유지지원금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고용유지지원금은 불가항력적 사태로 사업에 타격을 받아 사업주가 임금을 줄 수 없고 임직원들이 실업 위기에 몰릴 때 지원된다. 현재 지원대상은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기업 중 전체 근로시간의 20% 이상을 초과해 휴업하거나 1개월 이상 휴직을 하게 되는 경우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달 1월 예약 수치는 지난해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며 “지난해 시작된 일본 불매운동에 올해 신종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여행시장이 더욱 악화됐다”고 말했다.
한국여행업협회 역시 “과거 메르스 사태보다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중국발 비행기는 모두 취소됐으며 일본, 동남아 등도 소비자 불안 심리가 작용해 예약 빈도가 매우 낮다”며 “여행업계의 의견을 조합해서 문화체육관광부 측과 추후 방안을 상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영철 인턴기자